괘능
신라38대원성왕능
신라 제38대 왕(785∼798).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경신(敬信). 내물왕의 12세손으로 효양(孝讓)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계오부인(繼烏夫人) 박씨(朴氏)이고, 비(妃)는 김신술(金神述)의 딸 숙정부인(淑貞夫人)이다. 아들 인겸(仁謙)·의영(義英)·예영(禮英)과 딸 대룡부인(大龍夫人)·소룡부인(小龍夫人)을 두었다. 780년(혜공왕 16) 김양상(金良相;선덕왕)과 함께 김지정(金志貞)의 반란을 진압하여 선덕왕이 즉위하자 상대등에 올랐다. 선덕왕이 후사 없이 죽자 태종무열왕 6세손인 김주원(金周元)을 이기고 왕으로 추대되었다. 즉위하자 아버지 효양은 명덕대왕(明德大王), 조부 위문(魏文)은 흥평대왕(興平大王), 증조부 의관(義寬)은 신영대왕(神英大王), 고조부 법선(法宣)은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추존하고, 어머니는 소문태후(昭文太后)로 추봉하였다. 785년(원성왕 1) 총관을 도독으로 바꾸었고, 788년 독서삼품과를 설치하여 실력 위주로 관리를 임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태자로 책봉된 인겸이 죽자 792년 의영을, 794년 인겸의 맏아들 준옹(俊邕;소성왕)을 연이어 태자로 책봉하여 왕과 태자가 중심이 된 근친왕족이 권력을 장악케 하였다. 불교에 관심이 많아 승관(僧官)을 두었고, 795년 봉은사(奉恩寺)를 지었다. 한편 790년에는 김제의 벽골제(碧骨堤)를 증축하여 농사를 장려하였으며, 발해(渤海)와 통교하였다. 봉덕사(奉德寺) 남쪽에서 화장하였다.
- DSCN0592.JPG (0B) (214)
